1998년 CONCACAF 챔피언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년 CONCACAF 챔피언스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주최한 클럽 대항전으로,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클루브 레온이 콜로라도 래피즈를 꺾고 8강에 진출했으며, 중앙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예선도 치러졌다. 결선 라운드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렸으며, D.C. 유나이티드가 데포르티보 톨루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로이 라시터는 최다 득점자이자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대회 베스트 11도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축구 -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한 39번째 대회로, 바스쿠 다 가마가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클럽들이 예선에 참가했다. - 1998년 축구 - 1998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32개국이 참가, 골든골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프랑스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 지네딘 지단 활약, 다보르 슈케르가 득점왕에 올랐으나 개최국 선정 과정에서 부정부패 의혹이 제기된 대회이다. - CONCACAF 챔피언스컵 시즌 - 2021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2021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으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북중미 최고의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코로나19로 일정 조정이 있었으며 몬테레이가 우승했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CONCACAF 챔피언스컵 시즌 - 1989년 CONCACAF 챔피언스컵
1989년 CONCACAF 챔피언스컵은 UNAM 데 푸마스가 FC 피나르델리오를 꺾고 우승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클럽 대항전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1998년 CONCACAF 챔피언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연도 | 1998년 |
| 대회 기간 | 1998년 2월 1일 – 8월 16일 |
| 개최지 | 미국 워싱턴 D.C. |
| 참가 팀 수 | 20개 클럽 (10개국) |
| 참가 협회 수 | 5 |
| 결과 | |
| 우승 | D.C. 유나이티드 (1번째 우승) |
| 준우승 | 데포르티보 톨루카 |
| 3위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 4위 | 레온 |
| 통계 | |
| 총 경기 수 | 8 |
| 총 득점 | 19 |
| 대회 연혁 | |
| 이전 대회 | 1997 |
| 다음 대회 | 1999 |
2. 예선 라운드
1998년 CONCACAF 챔피언스컵 예선 라운드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의 세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지역별 예선을 통해 결선 라운드에 진출할 팀을 가렸다.
-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는 멕시코의 레온이 미국의 콜로라도 래피즈와의 홈 앤드 어웨이 경기에서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중앙 아메리카 축구 연맹(UNCAF) 주관 하에 여러 단계의 예선 라운드가 진행되었다. 1라운드와 2라운드, 플레이오프를 거쳐 엘살바도르의 루이스 앙헬 피르포와 코스타리카의 LD 알라후엘렌세가 결선 라운드 진출권을 획득했다.
-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당시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개최 일정 문제로 별도의 예선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 대신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조 퍼블릭 FC를 카리브해 대표로 초청하여 결선 라운드에 참가시켰다.
2. 1. 북아메리카 지역 예선
===1차전===
1998년 6월 28일 18:00 (MST), 미국 덴버의 마일 하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콜로라도 래피즈가 레온을 1-0으로 이겼다. 발보아가 83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이날 경기의 관중은 7,442명이었고, 심판은 캐나다의 케빈 스키너였다.
===2차전===
1998년 7월 15일, 멕시코 레온의 에스타디오 레온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레온이 콜로라도 래피즈를 4-2로 이겼다. 레온에서는 베히네스(30'), 로메로(38'), 카데나(53')가 골을 넣었고, 콜로라도 래피즈의 트리츠슈가 42분에 자책골을 기록했다. 콜로라도 래피즈에서는 트리츠슈(45')와 브라보(69')가 득점했다.
합계 점수 4-3으로 '''레온'''이 결선 라운드(8강)에 진출했다.
2. 2.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
중앙 아메리카 축구 연맹(UNCAF)이 주최했다.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은 여러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라운드의 각 조 상위 팀들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이후 2라운드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선 토너먼트 진출팀을 결정했다.2. 2. 1. 1라운드
=== South A ===- 1998년 2월 8일: 디리안겐 0–3 사프리사 (득점: 스티븐 브라이스, 헤라르드 드루먼드, 알레한드로 세케이라) - Cacique Diriangen Stadium
- 1998년 2월 15일: 아라베 우니도 1–0 디리안겐 (득점: 카를로스 브라운) - Roberto Mariano Bula Stadium, 콜론, 파나마
- 1998년 2월 17일: 디리안겐 1–1 아라베 우니도 (득점: ? / ?) - 에스타디오 아르만도 델리 발데스, 콜론, 파나마
- 1998년 2월 25일: 사프리사 4–1 디리안겐 (득점: 아드리안 마히아 (2), 케르빈 레이시, 비니시오 몬테로 / ?)
- 1998년 3월 8일: 아라베 우니도 1–2 사프리사 (득점: ? / ?)
- 1998년 3월 11일: 사프리사 vs 아라베 우니도 -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South B ===
- ''주: 타우로와 레알 에스텔리 간의 두 경기는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1998년 2월 8일: 타우로 1–2 알라후엘렌세 (득점: 루이스 아그라잘 / 데이비드 디아치, 리처드 스미스) - 에스타디오 하비에르 크루스 데 콜레히오 데 아르테스 이 오피시오스, 파나마 시티, 파나마
- 1998년 2월 11일: 알라후엘렌세 4–0 타우로 (득점: ?)
- 1998년 2월 14일: 알라후엘렌세 8–0 레알 에스텔리 (득점: ?)
- 1998년 2월 17일: 레알 에스텔리 1–3 알라후엘렌세 (득점: ? / ?) - 알라후엘라 주 팔마레스, 코스타리카
- 1998년 3월 8일: 레알 에스텔리 vs 타우로 -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1998년 3월: 타우로 vs 레알 에스텔리 -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North A ===
- ''모든 경기는 과테말라 시티, 과테말라에서 열림.''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1 | 과테말라 코무니카시오네스 | 3 | 2 | 1 | 0 | 13 | 6 | +7 | 7 | 2라운드 진출 |
| 2 | 온두라스 올림피아 | 3 | 2 | 0 | 1 | 8 | 4 | +4 | 6 | 2라운드 진출 |
| 3 | 엘살바도르 알리안자 | 3 | 0 | 2 | 1 | 6 | 9 | -3 | 2 | |
| 4 | 벨리즈 유벤투스 | 3 | 0 | 1 | 2 | 5 | 13 | -8 | 1 |
- 1998년 3월 18일: 올림피아 2–0 유벤투스 (득점: 키로가 59', 79')
- 1998년 3월 18일: 코무니카시오네스 2–2 알리안자 (득점: 니콜라스 수아조 19', ? / 오라시오 루고 29', 에릭 도슨 프라도 ?)
- 1998년 3월 20일: 알리안자 3–3 유벤투스 (득점: 마르셀로 바우자 (3) / 프레디 툰, 스티브 홀, 앨런 플라워스)
- 1998년 3월 20일: 코무니카시오네스 3–2 올림피아 (득점: 폰세카 40', 67', 로다스 76' / 벨라스케스 50', 코스타 85')
- 1998년 3월 22일: 알리안자 1–4 올림피아 (득점: 아드리안 데 라 크루즈 68'(PK) / 코스타 6', 34', 58', 벨라스케스 90')
- 1998년 3월 22일: 코무니카시오네스 8–2 유벤투스 (득점: 제이슨 베넷 22', 53', 79', 발렌시아 13', 75', 로다스 15', 69', 웨스트팔 82' / 도니 툰 28', 데이브 매컬리 90')
=== North B ===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1 | 엘살바도르 루이스 앙헬 피르포 | 5 | 3 | 1 | 1 | 9 | 3 | +6 | 10 | 2라운드 진출 |
| 2 | 온두라스 플라텐세 | 5 | 3 | 1 | 1 | 10 | 3 | +7 | 10 | 2라운드 진출 |
| 3 | 과테말라 아우로라 | 6 | 1 | 1 | 4 | 8 | 12 | -4 | 4 | |
| 4 | 벨리즈 레알 베르데스 | 6 | 1 | 1 | 4 | 5 | 14 | -9 | 4 |
- ''주: 레알 베르데스와 루이스 앙헬 피르포, 플라텐세와 루이스 앙헬 피르포 간의 마지막 두 경기는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1998년 2월 1일: 아우로라 1–2 플라텐세 (득점: 카스타냐로 60' / 카르카모 49', 다 실바 85')
- 1998년 2월 8일: 플라텐세 2–1 아우로라 (득점: 다 실바 84', 카르카모 85' / 카스타냐로 67'(PK))
- 1998년 2월 22일: 레알 베르데스 0–0 플라텐세
- 1998년 2월 25일: 아우로라 2–2 루이스 앙헬 피르포 (득점: 루이스 페레즈, 셀빈 폰시아노 / 호세 몬테로사, 셀리오 로드리게스) - 에스타디오 델 에제르시토, 과테말라 시티, 과테말라
- 1998년 3월 1일: 플라텐세 6–0 레알 베르데스 (득점: 메히아 3', 65', 다 실바 10', 푸엔테스 44', 모랄레스 76', 데 레온 84'(PK))
- 1998년 3월 4일: 루이스 앙헬 피르포 2–0 아우로라 (득점: 알프레도 페레즈, 라울 토로)
- 1998년 3월 15일: 레알 베르데스 1–2 아우로라 (득점: ? / ?, 셀빈 폰시아노) - 노먼 브로스터 스타디움, 산 이그나시오, 벨리즈
- 1998년 3월 22일: 루이스 앙헬 피르포 4–1 레알 베르데스 (득점: 이스라엘 카스트로, 루이스 오세게라, 라울 토로, 페드로 바스케스 / 크루셀 트레이크) - 노먼 브로스터 스타디움, 산 이그나시오, 벨리즈
- 1998년 3월 25일: 루이스 앙헬 피르포 1–0 플라텐세 (득점: 라울 토로 20')
- 1998년 3월 25일: 아우로라 2–3 레알 베르데스 (득점: ? / ?)
- 1998년 4월 1일: 레알 베르데스 vs 루이스 앙헬 피르포 -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 1998년 4월 12일: 플라텐세 vs 루이스 앙헬 피르포 - 경기 결과에 영향이 없어 취소됨.
2. 2. 2. 2라운드
'''2조'''|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1 | 루이스 앙헬 피르포 (엘살바도르) | 4 | 2 | 2 | 0 | 7 | 4 | +3 | 8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 2 |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 4 | 2 | 1 | 1 | 9 | 5 | +4 | 7 | 플레이오프 진출 |
| 3 | 올림피아 (온두라스) | 4 | 0 | 1 | 3 | 2 | 9 | -7 | 1 |
- 1998년 4월 15일: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1 - 1 루이스 앙헬 피르포 (엘살바도르)
- 1998년 4월 22일: 올림피아 (온두라스) 0 - 1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득점: 미소 6분)
- 1998년 4월 30일: 루이스 앙헬 피르포 (엘살바도르) 2 - 0 올림피아 (온두라스) (득점: 토로 48분, 몬테로사 55분)
- 1998년 5월 7일: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5 - 1 올림피아 (온두라스) (득점: 바디야 11분, 마드리갈 20분, 마르틴스 41분, 쿠베로 50분, 미소 73분 / 벨라스케스 75분)
- 1998년 5월 14일: 루이스 앙헬 피르포 (엘살바도르) 3 - 2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 1998년 5월 20일: 올림피아 (온두라스) 1 - 1 루이스 앙헬 피르포 (엘살바도르) (득점: 페르난데스 27분 / 로드리게스 72분)
'''플레이오프'''
- 1998년 7월 26일: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4 - 2 코뮤니카시온 (과테말라) (장소: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 경기장, 알라후엘라, 코스타리카)
- 1998년 7월 29일: 코뮤니카시온 (과테말라) 1 - 1 알라후엘렌세 (코스타리카) (장소: 도르테오 구아무치 플로레스 경기장, 과테말라 시티, 과테말라)
합계 5-3으로 알라후엘렌세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 2. 3. 플레이오프
코스타리카의 LD 알라후엘렌세가 과테말라의 CSD 코무니카시오네스를 합계 5-3으로 누르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LD 알라후엘렌세 | 5-3 | CSD 코무니카시오네스 | 4-2 | 1-1 |
2. 3. 카리브해 지역 예선
당시 카리브해 클럽 선수권 대회는 11월에 개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조 퍼블릭 FC(Joe Public F.C.)를 카리브해 대표로 초청하여 결선 라운드에 진출시켰다.3. 결선 라운드
결선 라운드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경기는 미국 워싱턴 D.C.의 로버트 F. 케네디 기념 경기장에서 열렸다.
다음 세 팀은 결선 라운드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 멕시코: 크루스 아술 (전년도 우승팀 자격)
- 멕시코: 데포르티보 톨루카 (1997-98 시즌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베라노 우승팀 자격)
- 미국: D.C. 유나이티드 (1997년 MLS컵 우승팀 자격)
3. 1. 대진표
wikitext| 라운드 | 날짜 | 경기장 | 팀 1 | 점수 | 팀 2 | 비고 |
|---|---|---|---|---|---|---|
| 8강전 | 8월 11일 | 로버트 F. 케네디 기념 경기장, 워싱턴 D.C. | D.C. 유나이티드 | 8 - 0 | 조 퍼블릭 | |
| 8월 11일 | 레온 | 1 - 1 | 루이스 앙헬 피르포 | 승부차기 끝에 레온이 3-2로 승리 | ||
| 8월 12일 | 크루스 아술 | 0 - 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승부차기 끝에 사프리사가 5-3으로 승리 | ||
| 8월 12일 | 톨루카 | 2 - 0 | 알라후엘렌세 | |||
| 준결승전 | 8월 14일 | D.C. 유나이티드 | 2 - 0 | 레온 | ||
| 8월 14일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1 - 1 | 톨루카 | 승부차기 끝에 톨루카가 3-2로 승리 | ||
| 3위 결정전 | 8월 16일 | 레온 | 0 - 2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
| 결승전 | 8월 16일 | D.C. 유나이티드 | 1 - 0 | 톨루카 |
3. 2. 8강전
(승부차기 3 - 5)(승부차기 3 - 2)